본문 바로가기

세금 이야기

퇴사 후 건강보험료 폭탄, 왜 이렇게 많이 나올까?

 

퇴사 후 건강보험료 폭탄, 왜 이렇게 많이 나올까?

— 직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차이, 보험료 계산 구조까지 한눈에 정리

 

 

 “퇴사했더니 건강보험료가 확 뛰었어요. 실수인가요?”

실수 아닙니다.

퇴사하고 얼마 후 날아온 건강보험료 고지서.
예전엔 10만 원대였는데, 이제는 20~30만 원?
많은 분들이 여기서 크게 놀라죠.

그런데 알고 보면,
이건 당연한 구조 안에서 생기는 변화예요.

오늘은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,
그리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
하나하나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.

 

건강보험료

 

 

 

 

목차

 

 

 

 

 

건강보험료 계산 방식은 딱 2가지뿐입니다

 

건강보험은 우리 모두가 가입하는 사회보장제도예요.
그런데 보험료를 어떻게 계산하는지는 ‘가입 유형’에 따라 완전히 달라집니다.


직장가입자 월급 기준 회사와 반반 부담, 자동 공제
지역가입자 소득 + 재산 + 자동차 기준 본인 100% 부담, 포괄적 산정
 

퇴사하면 자동으로
직장가입자 → 지역가입자로 전환되고,
그 순간 보험료 계산 방식도 완전히 바뀝니다.

 

 

 

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, 뭐가 다른가요?

✔ 직장가입자일 땐

  • 급여 × 7.09% (2025년 기준)
  • 그중 절반은 회사가 대신 납부
    → 내가 실제 내는 건 월급의 약 3.545%

✔ 지역가입자가 되면

  • 소득 + 재산 + 자동차 → 점수 계산
  • 점수 × 216.2원(점수당 금액)
    → 전액 본인 부담

그래서 같은 소득이라도 보험료는 2~3배 차이

 

예를 들어,

  • A씨(직장인) 월급 400만 원 → 보험료 약 14만 원
  • B씨(퇴사 후 지역가입자) 수입 비슷하지만 본인 명의 아파트·차량 보유
    → 보험료 25~30만 원대까지도 가능

 

 

갑자기 이렇게 많이 내는 게 맞는 건가요?

 

네, 이건 시스템이 잘못된 게 아니라
직장가입자‘소득 기준’,
지역가입자‘자산을 기반으로 한 간접 계산’이기 때문이에요.

왜냐하면 지역가입자는 소득을 명확하게 포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거든요.
그래서 정부는
“집 있고 차 있으면, 그만큼 여유 있는 거 아닌가?”라고 보고
보험료를 책정해요.

 

 

‘차’나 ‘집’도 보험료에 영향을 줘요

 

✔ 자동차는 ‘보유 여부’보다 ‘가액’이 중요

 

자동차 가액 = 지금 그 차가 얼마짜리냐는 뜻이에요

  • 고가 차량, 배기량 높은 차일수록 점수 ↑
  • 경차나 저가 차량은 거의 반영 안 되거나 면제

→ 퇴사 후에도 차량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면
자동차 한 대 때문에 보험료가 3~5만 원 오를 수도 있어요

 

 임대주택 주소지로 전입하면?

 

본인 명의 자가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
재산으로 점수 부여가 들어가요.

→ 반면 전세나 월세 거주자는
재산이 없다고 간주되어 점수 부담이 줄어듭니다.

그래서 실제로는
부모님 명의 아파트에서 독립해서, 임대주택 주소로 전입하면
보험료가 꽤 낮아지는 경우도 있어요!

 

 

 단, 실제 거주가 아니면서 전입만 바꾸는 건 주의가 필요해요

 

 

그래도 방법은 있습니다: ‘임의계속가입제도’

 

 

퇴사했다고 해서 무조건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건 아니에요.
조건만 맞으면, 직장가입자 자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.

임의계속가입제도
유지기간: 최대 3년
보험료: 퇴사 직전 직장보험료 수준
장점: 재산·자동차 등 반영 안 됨
신청기한: 퇴사 후 2개월 이내

 

 

이건 진짜 놓치면 보험료 수십만 원 차이 납니다!

📌 이거 놓치면 보험료 확 뛰어요!
👉 퇴사해도 보험료 반값 유지? 임의계속가입제도 총정리

 

 

 

✅ 정리해볼게요: 구조만 알아도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

  • 건강보험료는 가입 유형이 바뀌면 계산 방식도 바뀐다
  • 직장가입자는 ‘급여 중심’, 지역가입자는 ‘자산 중심’
  • 퇴사하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 전환 → 보험료 폭등 체감
  • 하지만 임의계속가입제도나 재산 점수 조정으로 줄일 수 있는 여지 있음
  • 고지서 보고 당황하지 말고, 내가 어떤 구조에 있는지 먼저 파악해보세요!